매입처원장 외상매입금원장이라고도 불리우며, 매입처에 대한 외상매입채무의 발생, 소멸을 상세하게 기록하는 보조부를 말한다. 매입처별로 인명계정을 설정하여 기록하는 것이 특징이다. 매입환출 일정기간에 다액 또는 다량의 거래를 하였기 때문에 받은 반루액을 말한다. 매출환입의 반대개념이며, 매입할인, 매입에누리 등으로 구별된다. 매출환출을 받은 년도에 매입이 있으면, 매입액의 공제항목으로서 처리하며, 과년도의 환출이면은 영업외수익에 계상한다. 매입할인 매입현금할인이라고도 말하며, 매입대금의 기일이전의 결제에 즈음하여 매입처에서 허용되는 금융할인을 말한다. 매입할인은 매입액에서 직접 공제하는 것이 바른 것으로 설파되고 또 때로는 영업외 수익으로 하는 것이 바른 것이라고도 설파(말하여짐)되고 있다. 매입에누리 매입..
자유무역협정(FTA) Free Trade Agreement의 약자로 국가 간에 관세 없이 무역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한국과 일본이 FTA를 맺는다면 한국이 수출하는 물건과 일본으로부터 수입하는 물건에 상호 간 세금(관세)을 붙이지 않는다는 뜻이다. 이렇게 되면 우리나라처럼 수출 의존도가 높은 국가는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갖게되며, 국내 소비자 입장에서는 보다 싼 가격에 수입품을 구입할 수 있다. 그러면 현재 우리의 주요 수출 상대국과 무조건 FTA를 맺는 것이 유리한 것이 아니냐고 생각할 수 있는데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왜냐하면 FTA는 상대적인 것이라서 해외의 싼 물건의 수입으로 자국의 제품에 피해를 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주가지수는 일정시점의 주가 수준을 기준으로 현재 시점의 주가 수준..
가계정 거래가 발생하여 자산증감 변화가 있었으나, 아직까지 계정과목이 불명확하다든가, 또는 계정과목을 알고 있으나, 금액이 불확정 된 경우에, 그것이 확정될 때까지 일시적으로 기록하여두는 계정. 가수금 영업상 어떤 수입이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이것을 처리하는 과목 또는 금액이 미정일 경우, 이것이 확정될 때가지 일시적으로 처리하는 가의 계정. 가지급금 지급금이 있었으나 아직까지 이것을 처리하는 과목 또는 금액이 미정일 경우에 그것이 확정될 때까지 일시적으로 이 지급을 처리하는 가의 계정. 간접법 직접법(감가상각)에 대립하는 처리법이다. 고정자산의 가액을 당초의 원가로 이월하여, 상각액은 별도로 감가상각충당금계정의 대변에 기입하는 방법을 말한다. 감가상각 토지를 제외한 유형, 무형의 고정자산은, 대체적으로..